“특별법 제정 및 산업전사의 날 지정을”석탄산업전사 추모 특별법제정 포럼 개최-2021.10.02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HOME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특별법 제정 및 산업전사의 날 지정을”석탄산업전사 추모 특별법제정 포럼 개최-2021.10.02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21-10-04
  • 조회4회
  • 이름관리자

본문

“특별법 제정 및 산업전사의 날 지정을”
석탄산업전사 추모 특별법제정 포럼 개최

 

()석탄산업전사추모및성역화추진위원회(위원장 황상덕)는 1일 오후 태백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제1회 석탄산업전사 추모 및 특별법 제정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이번 포럼은 특히 올해 태백시 개청 40주년 기념행사로 열려 그 의미가 깊다.

  

 

2021100242812.JPG
▲ 발열체크 및 접종자 분류 모습.
 

이번 포럼에는 류태호 태백시장김천수 태백시의회 의장황상덕 ()석탄산업전사추모 및 성역화추진위원장박인규 태백시지역현안대책위원회 위원장강원도청 자원개발과 최종훈 과장 및 도 관계자이상호 김혁동 도의원김상수 이한영 태백시의회 의원관내 기관사회단체장광부 및 유가족 등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석탄산업전사추모 및 성역화추진위원회 출범이후 개최된 첫 행사로 한국 경제 발전의 주역광부와 석탄 문화 유산의 가치라는 주제로 정부 주도의 석탄산업전사위령제와 특별법 제정 필요성에 대한 토론과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박대근 태백시지역현안대책위원회 사무처장의 사회로 시작된 이번 포럼은 김태수 ()폐광지역활성화센터 학술연구소장을 좌장으로 발제자에 정연수 탄전문화 연구소장토론자로 김상수 시의원박진영 일자리경제과장박용일 한국진폐재해재가환자협회 고문성희직 정선진폐상담소 소장장한결 만덕사 혜덕스님허준석 태서마인택 대표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했으며 예정된 인원이 초과되자 일부 시민들은 참석하지 못하고 되돌아갔다그리고 포럼과정은 유튜브 태백뉴스-태백시정소식’ 계정을 통해 생중계 진행됐다.

 

2021100242928.JPG
▲ 황상덕 위원장

 

황상덕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석탄산업이 반드시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널리 알리는 것이 우리의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행사를 개최하여 산업전사 분들의 혼이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을 꼭 이루겠다고 말했다.

 

덧붙여 국가는 당연히 해야할일즉 광부의 희생과 그 유가족과 폐광지역의 특별한 정책적 배려 즉배상은 아니더라도 보상적 차원에서 관련 법 제정에 직접 나서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2021100243015.JPG
▲ 류태호 태백시장.
 

류태호 태백시장은 한국경제발전의 주역광부와 석탄문화 유산의 가치라는 주제를 가지고 첫 번째 탄광역사포럼을 개최하게 됨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한다며 아울러 금번 행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누구보다 고생하신 석탄 사업전사 추모 및 성역화 추진위원회 황상덕 위원장님그리고 추진위원님들 모두 고생 많으셨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시에서는 산업전사위령탑 성역화사업 추진을 위한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용역을 실시했으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황상덕 성역화 추진 위원장님 외 위원들께서 국회를 방문 지원을 요청드렸다.”고 말했다.

 

류 시장은 올해는 태백시 승격 4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이다시는 올해를 기점으로 새로운 태백의 100년을 구상하고 시민이 행복한 태백살기좋은 태백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포럼을 기점으로 석탄 산업의 뿌리인 태백시를 우리나라 탄광산업 문화유산도시로 자리매김 할수 있도록 시에서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말했다.

 

 

2021100243042.JPG
▲ 김천수 시의회의장.
 

김천수 태백시의회 의장은 오늘 한국경제 발전의 주역광부와 석탄문화 유산의 가치 포럼이 개최됨을 뜻깊게 생각하며포럼 준비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신 황상덕 성역화 추진위원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또한 산업전사들의 위상과 탄광문화 유산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선 정연수 탄전문화연구소장(문학박사)은 광도 태백에서 한국 석탄산업 유산의 성지로를 강조하며 석탄산업 전사의 성지화를 통해 역사 속에서 기려야 할 책무는 국가에 있다고 주장했다.

 

 

2021100243110.jpg
▲ 정연수 소장.
 

이어 성역화라는 공간의 확충과 더불어 석탄산업전사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 추모할 수 있는 공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모든 산업에 종사한 노동자들이 본받기 위해 찾아오는 순례지로성장하는 학생들의 산업 학습장소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정연수 소장은 탄광지역 7개 시군 혹은 강원도가 나서서 산업전사들을 유공자로 인정하는 작업을 당장 시작해야 한다태백이 탄광으로 탄생된 도시인 만큼 중심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석탄산업 유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태백시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그리고 행정적인 부서를 구성 운영해 주도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으며 석탄공사는 광업소운영 이후 광산문화를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기구로 지속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2021100243143.jpg
▲ 김상수 시의원

 

김상수 시의원은 보존가치가 있는 산업유산은 문화재 등록과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유지하고 활용가치가 높은 산업유산은 문화와 접목해 문화유산으로 모든 세대의 기억과 체험의 공간으로 태어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일 한국진폐재해재가환자협회 고문은 산업전사 위령탑을 중심으로 한 추모사업은 업무상재해로 순직한 광부와 분진작업장에서 발생한 진폐증을 포함한 각종 폐질환으로 사망한 광부와 퇴직광부까지 포함하는 형태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오직 국가에 대한 충성심 하나로 조국근대화의 발판을 이룩하다가 희생당한 광산순직자들을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에 비해 소홀히 대할 수 없다며 국가는 마땅히 이런 근대화 희생자들을 위한 국가주도사업을 태백시를 중심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1100243211.jpg

 

박진영 태백시 일자리경제과장은 국가는 순직산업전사들의 죽음이 개인의 불행한 역사가 아니라 국가산업의 역사임을 잊지 말고 그들의 숭고한 희생에 상응하도록 반드시 보상과 예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는 또 포럼 개최 등을 통해 국민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들의 삶과 발자취를 새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성희직 정선진폐상담소장은 오늘 포럼을 계기로 석탄산업전사 추모 및 성역화 사업에 폐광지역사회의 더 큰 공감대정부와 정치권언론의 관심을 촉구하며 한강의 기적이라고도 표현하는 대한민국 발전을 이야기할 때공로자들의 맨 앞에 광부와 진폐재해자들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기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1100243236.JPG
▲ 특별법 제정 촉구 등 결의대회

 

장한결 만덕사 혜덕스님은 태백을 중심으로 한 폐광지역은 현재 영향력이 약한 만큼 강원도와 선출직 정치권들이 여야를 떠나 초당적으로 합심해야 한다그리고 석탄산업과 광부들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기록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지역의 목소리를 청와대 국회 정부에 전달해야 한다내년에 선거가 있는 만큼 지금이 적기라고 본다고 했다.

 

 

2021100243315.jpg
▲ 포럼종료 후 참석자 기념촬영.

 

끝으로 김태수 학술연구소장은 오늘 포럼을 개최한 이후 특별법제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며 시민들에게도 자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유네스코 등재를 위해서라도 탄광지역 시설물들이 온전히 보존될 때 가능하다고 본다이와 아울러 탄광지역 중심도시인 태백시에 이 문제들을 다루고 전문적으로 추진할 부서가 구축돼야 한다태백시가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했다.

 

 

ⓒ 태백정선인터넷뉴스 (tj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광고문의/취재요청T.553-2800 (tjinews@hanmail.net)

오형상 기자(chiak119@hanmail.net)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로 1130
Tel. 033- 552-5881/033- 552-6033
Fax. 033-554-4588

Copyright ⓒ 사)한국진폐재해재가환자협회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로그인 메이크24 바로가기